All (147) 썸네일형 리스트형 Remote clone vs. pull Remote repository remote | Local => Remote local repository에서 commit한 내용들을 서버에 업로드 하기 위해서, 먼저 github에 repo를 만들어야 한다. git remote add origin 주소 | 현재 local에 기록되어 있는 내용을 remote 저장소에 연결(add)한다. 저장소의 주소는 "origin" 이라는 이름(변수)에 할당된다. 여러 개의 원격 저장소 주소를 연결할 수도 있다. 로컬과 동기화하는 원격 저장소의 이름은 주로 "origin"으로 설정한다. 이제 로컬에서 history를 확인할 때, origin/master를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서버(origin)에 등록되어 있는 master 브랜치라는 뜻이다.. Undo before start log(history)를 수정하는 것은 기존의 커밋을 새로운 커밋으로 바꾸는 것이기 때문에, 이미 서버에 업로드 된 history라면, 즉 다른 개발자와 함께 공유하고 있는 경우라면, log를 수정하지 않는 것이 좋다. working dir & staging area 초기화 git restore . | working dir에 있는 모든(.) 변화 상태를 초기화 +) 이전에는 git checkout 커밋을 이용해서, 그 커밋으로 되돌아 가는 방법을 사용했다 git restore 파일명 | 파일의 변화 상태를 초기화 git restore --staged . | staging area에 있는 모든(.) 변화 상태를 다시 working dir로 가져온다 git restore --stage.. Stash what is keep-index option track vs. untracked files What is stash? 이런 상황을 생각해 보자. A는 열심히 working directory에서 코드를 수정하고 있다. 그런데 B가 다른 브랜치에서 생긴 bug를 확인해 달라고 요청한다. ✨이 때 A가 지금까지 수정한 내용을 commit하지 않고 다른 branch로 checkout하면 예기치 못한 문제가 생긴다.✨ 예를 들어 feature라는 브랜치에서 수정한 파일을 commit하지 않은 상태로 master로 이동하면, feature에서 작업중인 내용이 master의 status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물론 commit을 한 뒤에 다른 branch로 이동할 수도 있지만, A는 아직 수정 중인 사항을 comm.. Branch & Merge What is branch & merge? over view 깃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master"라는 branch가 생성된다. 새롭게 만들어지는 commit은 각각 이전 commit을 가리키고 있다(pointer). 서로를 가리키면서 이어진 commit들을 "branch"라고 하고, branch와 branch를 하나의 branch로 병합하는 것을 "merge" 라고 한다. +) HEAD 모든 commit을 보여주는 git log를 이용하면 head -> 라는 것이 표시됨 "HEAD" => current branch current branch => 가장 최근에 한 커밋, 또는 가장 최근에 working directory로 불러온 커밋 Branch git branch | local repo에 저.. Basic init 프로젝트 폴더, 즉 앞으로 프로젝트에 사용될 파일을 모아 둔 폴더를 깃 프로젝트로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 폴더 내부 파일의 변경 사항들을 깃이 추적 할 수 있다. git init | 현재 폴더를 깃 프로젝트로 만든다(.git이라는 repository(저장소)를 생성한다). git clone [깃헙 프로젝트 url] [프로젝트를 복사할 폴더 이름] | 깃헙 repository(내 repo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공개한 repo도 가능)를 내 컴퓨터의 폴더로 복사해 올 수 있다. Status git status | 현재 branch의 내부 상태 확인 trancked/ untracked files... | 깃이 변경 사항을 추적하고 있는 파일(tracked files), 아닌 파일(untrack.. over view git & github fundamentals Init & Remove 우리가 만들 프로젝트를 깃 프로젝트로 하려면, 즉 프로젝트의 변화 사항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하려면, 먼저 깃 초기화 단계(git initialization)가 필요하다. 터미널에서 프로젝트가 포함될 directory에 "git init" 명령어를 입력하면, master branch와 ".git" 이라는 다양한 파일이 포함된 숨겨진 폴더가 생성된다. ".git"은 우리가 작업하는 코드의 버전 정보가 저장되는 곳이다. 만약 git project로 만들고 싶지 않으면, "rm -rf .git" 명령어를 이용할 수 있다. Over view | Work flow working directory | 프로젝트를 수정/작업하는 곳 staging a.. What is Git & VCS? Git pro-book Git Git is just one Version Control System, but World's most popular VCS Then what is VCS? VCS VCS란 파일에 생기는 변화를 추적하고, 파일을 관리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일컫는다. version간의 변화 사항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할 때 earlier version으로 돌아갈 수 있게 만든다. 되돌아간다고 해서 지금까지 작업했던 내용이 사라지는 것도 아니다. Git에서는 VCS의 기본에 더해 더 많은 일들을 할 수 있다. 여러 개발자가 협업하는 프로젝트에서 특히 중요한 일을 하는데, 프로젝트를 여러 갈래로 나누고(branching), 그 갈래를 다시 병합(merging)함으로써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Terminal & Command What is Terminal? 모든 운영체제는 Terminal이라고 불리는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다. 터미널은 간단한 명령어를 타이핑 함으로써, 컴퓨터에 있는 파일에 접근하는 것부터 프로그램을 설치, 수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일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사실 터미널에 명령어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마우스와 같은 GUI를 통해 모든 일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kdir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하는 것 대신, 마우스 우클릭을 이용해서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들 수 있다. 그런데 왜 터미널을 이용하는 걸까? 터미널은 우리가 컴퓨터에 접근(access)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일반적으로 접근할 수 없는 영역에 대한 권한도 주어져서, 해당 설정을 수정할 수도 있다. Node, Express, DataBase와..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